본문 바로가기
청년 정책

청년도약계좌: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한 정부지원 적금상품

by smile2003 2023. 11. 13.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부지원형 적금상품입니다. 현재 청년들이 장기적인 자산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상품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적금상품은 5년 동안 매월 70만원 이내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청년들의 금융 부담을 줄이고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돕고자 합니다.

 

지원대상

이 적금상품은 대한민국 거주 청년 중 아래의 가입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가입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이요건: 신규 가입 시 19세 ~ 34세 이하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개인소득요건: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금융소득요건: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자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자)

 

가구소득요건: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자

 

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년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국세청의 소득확인증명서를 통해 소득확인이 이루어집니다.

 

지원대상은 위의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들로 제한됩니다.

 

선정기준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대상은 위에서 언급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서비스 내용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수준 및 납입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으로 최대 6%를 지원합니다. 이로써 청년들은 더 많은 금융 자유를 누릴 수 있으며,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보다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취급은행의 모바일앱을 통해 매월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들은 편리하게 모바일앱을 통해 신청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처리절차

청년도약계좌의 처리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청년들은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SC제일은행 중에서 원하는 은행으로 서비스 신청을 접수합니다.

 

2.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지원 대상자를 선별합니다.

 

3. 대상자 확정: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를 확정합니다.

 

4. 서비스 지원: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지급합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은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지원을 받게 됩니다.

5. 서비스 사후 관리: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련 사항을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적금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을 제공합니다.

 

전화문의

청년들은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전화하여 문의할 수 있습니다. 전문 상담사들이 청년들의 궁금한 사항에 친절하게 답변해드립니다.

 

관련 웹사이트

더 자세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의 웹사이트(www.kinfa.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웹사이트에서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신청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근거법령

청년도약계좌는 조세특례제한법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정부지원 적금상품입니다. 해당 법령에 따라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